가상화폐 거래소 코인원을 운영하는 회사는 핀테크 스타트업인 코인원이다.
가상화폐 거래소인 코인원에서 거래할 수 있는 비트코인은 총 9종이다.(참고: 빗썸은 12종)
가상화폐 거래소인 코인원에서 거래할 수 있는 비트코인은 총 9종이다.(참고: 빗썸은 12종)
거래수수료율은 Maker 사용자와 Taker 사용자가 다르게 적용되며, 거래소에서 취급하는 모든 가상화폐에 동일한 수수료 율이 적용됩니다.
매수 거래수수료 = 체결수량(가상화폐수량) × 거래수수료율
[예시] 회원등급이 레벨3인 고객이 1BTC 매수 체결시,
Maker 매수 수수료: 체결수량(1 BTC) × 거래수수료율(레벨3: 0.06%) = 0.0006 BTC
Taker 매수 수수료: 체결수량(1 BTC) × 거래수수료율(레벨3: 0.08%) = 0.0008 BTC
매도 거래수수료 = 체결금액(KRW) × 거래수수료율
[예시] 회원등급이 레벨3인 고객이 1BTC 매도 체결시, (체결가: 12,843,000원)
Maker 매도 수수료: 체결금액(12,843,000원) × 거래수수료율(레벨3: 0.06%) = 7,706원
Taker 매도 수수료: 체결금액(12,843,000원) × 거래수수료율(레벨3: 0.08%) = 10,274원
매도 거래수수료 최소 금액은 1원입니다. (단, 수수료율이 0%인 경우 예외적으로 0원)
Maker
메이커(Maker)란, 즉시 체결되지 않는 주문을 걸어서 호가창에 매수/매도 잔량을 만드는 사용자입니다.
쉽게 말해 주문을 걸어두는, 주문을 만드는(Making) 사람입니다.
예를 들면, 현재 비트코인 시세가 12,843,000원인데 10,000원 더 낮게 12,833,000원에 매수 주문을 걸어두는 경우, 이를 Making 주문이라고 하며, 이 사용자를 메이커(Maker)라고 합니다.
Taker
테이커(Taker)란, 호가창의 매도/매수 잔량을 자신의 주문으로 즉시 체결시키는 사용자입니다.
쉽게 말해 상대방의 주문을 가져가는(Taking) 사람입니다.
예를 들면, 첫번째 매도 호가 12,843,000원에 1 BTC 매도 잔량이 존재할 때, 이를 즉시 체결시키는 주문이 Taking 주문이고, 이 사용자를 테이커(Taker)라고 합니다.
출금 수수료
코인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코인원에서는 9종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3. Work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에서 쓸만한 저렴한 프린터 5만원도 안되는 가격,학생용 프린터 (0) | 2018.06.23 |
---|---|
평촌 초원마을 5단지 엘지아파트,살기 좋은 아파트 (0) | 2018.06.11 |
가상화폐거래소 수수료 0.3% (0) | 2018.01.17 |
비트코인 시세 비트코인거래소 Bitcoin 빗썸 가상계좌 (0) | 2017.12.12 |
구글과 파트너 맺기, 애드센스 승인 절차, 승인 화면 (0) | 2017.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