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만(HARMAN) 인터내셔널 인더스트리는 1956년 미국 코네티컷 주 스탬퍼드에서 시드니 하먼이 창립하였다.
JBL, AKG 어쿠스틱스, 마크 레빈슨, 렉시콘 오디오 컴퍼니, AMX사, 크라운 오디오를 자회사로거늘인 세계적인 음향 기기 브랜드및 업체들이 그룹별로 모여있는 기업 집단이다.
2000년대에는 차량용 전자 부품, 즉 전장부품 산업에서 두각을 보이고 있고 전세계 시장 1위입니다.
자동차 전자 장비-카오디오, 네비게이션, 차 제어 등-가 그렇게 최첨단 기술인가? 커넥티드카라는 표현을 쓸 정도로 지금은 자동차가 인터넷 등과 연결하여 자동차에서 여러 업무를 처리하는 등 변화하는데 커넥티드카가 되려면 인포테이먼트 시스템이 필요한데- 이걸 위해 통신, 디스플레이 등에 강점을 가진 회사가 참여하고 있다. 삼성정자는 통신, 디스플레이에 강점이 있고, 하만은 오디오에 강점이 있어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lg전자가 2013년에 이미 뛰어든 산업이고, 삼성은 작년 12월에 진출을 선언했으며 규모와 인지도 확보가 시급하다.
하만은 이미 시장을 개척해온 상태이므로 하만의 인지도와 유통망을 얻을 수 있고, 오디오 기술력도 필요해서 인수했을 것이다.
하만은 왜 팔았을까? 하만이 지난해 매출액이 8조 2천억, 8천억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는데, 새로운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통신, 디스플레이 등의 기술력이 필요한데 하만은 이 부분이 약하므로 충분한 가격을 받고 삼성에 판 것일 것이다.
인포테이먼트 시스템을 이용하면 외부와 통신 연결이 되고, 이 시스템이 차에 설치되어 있으면 원격으로 차량 업데이트 등도 가능하여 리콜 비용 등이 감소하게 된다.
자회사인 제이비엘JBL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노스리지 시에 있는 음향, 오디오 전문 회사로 세계 최대의 오디오 기업 가운데 하나인 하만 인터내셔널의 계열사이다. JBL의 이름은 창립자인 제임스 B. 랜싱의 이름의 약자이며, 1946년 설립된 회사이다.
현재, 도요타(Toyota)사 역시 JBL의 음향시스템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현대자동차/기아자동차가 JBL을, 르노삼성자동차가 보스(Bose)를 채택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15년 12월 전장사업팀을 신설, 전장사업을 미래먹거리로 보고 투자해왔다.
하만은 인수 후에도 삼성전자의 자회사로서 현 경영진에 의해 운영될 예정이다.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에 공시한 내용을 보면 주총에는 보통주 약 6,988만주 중 약 4,946만주의 주주(70.78%)가 참여했다. 찬성 4,700만주(67%), 반대 210만주, 기권 43만주로 무리 없이 통과됐다.
거래금은 총 80억 달러(9조2,000억원)로, 국내 기업의 해외 인수합병(M&A) 사례로는 최대 금액이다.2015년 HARMAN 매출은 69억1,000달러, 영업이익은 6억8,000달러에 이르며 매출의 65%는 전장사업에서 얻고 있다.
전장사업의 연평균 성장률은 9%에 이른다.
2025년에는 1,029억 달러로 스마트카 전장 시장의 55%를 차지할 것으로 점쳐진다.
'3. Work >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입차 유지비, 자동차 보험료 할인 (0) | 2017.04.02 |
---|---|
푸조 2008의 매력에 대해 알아본다. (0) | 2017.02.18 |
도요타자동차(프리우스하이브리드,렉서스)유래 및 특징은? (2) | 2017.02.11 |
2016년 판매 중단된 폭스바겐 차량의 18,000대 재고처리 방향은 파격적인 할인판매다. (0) | 2017.02.11 |
혼다어코드 하이브리드 영문 소개자료 입니다. (0) | 2017.02.05 |